세계 박물관의 날 - 국립현대미술관 2024 무료관람 이벤트
세계 박물관의 날 : 5월 18일
세계 박물관의 날은 국제 박물관 위원회(ICOM)에서 1977년에 처음으로 제안되었습니다. 이 날은 박물관의 역사와 문화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즐기기 위해 매년 5월 18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박물관은 역사, 문화, 예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인류의 역사를 보존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들은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예술품, 유물, 문서 등을 소장하고 전시함으로써 우리에게 과거의 흔적을 보여줍니다.
세계 박물관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많은 박물관들이 특별 전시, 워크숍, 강연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합니다. 또한 이 날을 기념하여 박물관에 방문하여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경험을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 무료관람 실시
[아래는 국립현대미술관 새소식 내용에서 발췌하였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구매 종류 MMCA 가족(7만원), MMCA 가족+(10만원) 구매 방법 서울관 안내데스크에서 현장 결제 등록 방법 서울관 안내데스크에서 '멤버십 선물하기 카드' 제시하고 회원 등록 사용 기간 멤버십 등록
www.mmca.go.kr
국민의 박물관·미술관에 대한 접근성 향상과 문화서비스 제공을 위해 실시하는 국립현대미술관「2024 박물관·미술관 주간」사업에 동참하고자 아래와 같이 무료 관람을 실시합니다.
무료관람 기간
「2024 박물관·미술관 주간」인 2024. 5. 2.(목) - 5. 31.(금) 기간 중 '세계 박물관의 날(5.18.)' 포함 주말 총 8일
(5/4 ~ 5, 5/11~12, 5/18~19, 5/25~26)
대상기관: 전관(서울, 과천, 덕수궁, 청주)
<전시회 추천>
정영선, 이땅의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서울 - 지하1층, 7전시실, 전시마당, 종친부마당
전시회 제목이 유난히도 마음에 들었던 서울 현대미술관의 전시회 중 하나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한국 최초 여성 조경가 정영선(1941~)의 반세기에 걸친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 개인전입니다. 서울올림픽미술관, 조각공원(1988), 대전 엑스포 '93(1993,1999), 여의도샛강생태공원(1997, 2008), 선유도공원(2002) 등의 대표작들로 유명한 조경가의 여정을 만나볼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분의 작품뿐만 아니라 서울관 특색에 맞는 현장 작업도 함께 소개된다고 합니다. 정영선의 조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정원이 전시마당과 종친부 마당에 조성되어 있다고 하니 비가오지 않는 날이면 직접 그 정원을 거닐어보기에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덕수궁 2층 1·2전시실, 3층 3·4전시실
주말에 궁으로 나들이 가는 길에 갈만한 전시회가 있어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바로 "한국 근현대 자수"에 관한 전시회 인데요. 한국의 자수는 바늘과 실을 이용해 다채로운 색실로 직물을 장식하는 고유한 문화유산입니다. 오랜 역사를 지닌 이 자수는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시대마다 독특하고 아름다운 문화를 이끌어냈다고 하는데요.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통 자수가 낯설어지고 있으며, 근현대 자수는 주류 미술사의 관심 밖에 놓여 있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는 알려지지 않은 자수 작가와 작품을 발굴하여 소개하고, 미술사에서 주변화되었던 자수 실천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가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보탬이 되리라 기대해 봅니다.
'liberal a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 로빌란트 보에나 갤러리의 “서양미술 800년” 展 - 더현대서울ALT1 (1) | 2024.06.06 |
---|---|
[전시] 리얼뱅크시 REAL BANKSY - 그라운드서울 / 종각역 / 5.10 ~ 10.20 (0) | 2024.05.12 |
[전시] 한국 근현대 자수 :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 국립현대미술관 / 덕수궁미술관 / 박물관의날 한정 무료전시 (0) | 2024.05.12 |
[전시]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7전시장 / 유퀴즈 (0) | 2024.05.05 |
[전시]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의 거장 타카하타 이사오 전 - 세종미술관 / 후기 / 할인권 (0) | 2024.05.01 |